초단기 속성 코딩 변수, 타입, 조건문, 함수
말하는 컴퓨터 만들기할 수 있다.
1. 변수
1) 숫자의 경우
x=1, y=1 왼쪽의 값을 변수라 한다
print(x), print(y) 친후 RUN을 누르면 1,2가 프린트 된다
2) 문자의 경우
z="안녕" 을 입력한 후 RUN 하면 안녕이라고 프린트가 된다
2. 타입(Type)
숫자, 문자열, 분리한이 있다
1) 숫자를 보면 사칙연산 가능
print(x+y)
print(x-y)
print(x*y)
print(x%y) :나누기 표시
print(x**y) :제곱표시
print(x%y) #mod : 이것은 x를 y로 나눈후 남는값은 뭐냐라는 의미임.
2) 문자열
hello 큰 따옴표, 작은 따옴표 둘다 사용함
x="hello"
y='bye'
print(x)
print(y)
여러 라인을 동시에 하고 싶으면
z="""안녕하세요 배다리입니다."""
print(z)
아래와 같이 생성됨
문자열을 print로 이어서 쓸수도 있다.
print("코딩 재미있니?"+"응 너는 어때") 치면 오른쪽에 똑같이 표시된다.
TypeError는 print("너 혹시 몇 살이니?"+4)하면 안된다. 왜냐하면 문자열+숫자이기 때문에
그래서 아래처럼 파란색 박스처럼 TypeError 메세지가 적색으로 뜸
str(문자열), int(정수) 이다.
다른 Type 사칙연산은 할 수 없고 같은 Type으로 변경해야 한다. 이 것을 "케스팅한다"라고 함.
다시 수정해서 해보면,
print("너 혹시 몇 살이니? "+ str(4))로 수정하면 TypeError가 안뜬다.
예시를 더 들어보면, 문자타입으로 변경시
print(str(x) + y) 는 44
print(x+int(y))는 8
로 나타난다.
3) 불리안, boolean (True/False)
어떤 조건이 참이면 무엇무엇을 하라
3. 조건문 (If Else)
어떤게 참이면 무엇무엇을 해라
2가 1보다크면 Hello라고 해라를 하면
if 2>1:
print("Hello") hello가 나타남 ㅎㅎㅎ
반대로 하면
if 1>2:
print("Hello") 아무것도 안 나타남 ㅋㅋㅋ
또 not을 추가하면
if not 1>2:
print("Hello") hello가 나타남 ㅎㅎㅎ
조건 and, or 이용해서 여러가지 할 수 있다.
if 1>0 and 2>1:
print("Hello") 하면 hello가 나타남
둘중에 하나라도 참이 아니면 거짓으로 판명된다
if 0>0 and 2>1:
print("Hello") 아무것도 안 나타남
둘중에 하나가 참이면 hello가 나타나게 하려면 or를 쓴다
if 0>0 or 2>1:
print("Hello") hello가 뜸
좀 어려운거,
x=3
if x>2:
print("Hello")
else(그게아니면의미를 가짐) 를 써서
x=3
if x>5:
print("Hello")
else:
print("Hi")
elif(else if의미로 ~이면)
== : 같다는 표시
x=3
if x>5:
print("Hello")
elif x==3:
print("Bye")
else:
print("Hi") 하면 Bye로 나옵니다.
x가 5보다 큰지 보고 x가 3인지 보고 그게 아니면 다음으로 넘어가고 RUN
4. 함수 (Funciton)
반복되는 코드를 그룹으로 모아둔것
그룹핑을 하여 간단히 할 수있다.
definiton 의미를 def
def chat():
print("철수: 안녕? 넌 몇 살이니?")
print("영희: 나? 나는 20")
chat()
chat()
chat()
더 자유롭게 바쁘고 싶을때는 함수들이 인자들을 받는다 parameter
알렉스 자리에 name1을 넣고 윤하자리에 name2 넣는다.
chat에 알렉스, 윤하를 넣는다.
인자 2개 받으면 2개를 줘야한다.
def chat(name1, name2):
print("%s : 안녕 몇살이니?" % name1)
print("%s : 나는 20" % name2)
chat("알렉스", "윤하")
또 철수와 영희를 바꾸고 싶으면
그러며는 나이도 바꾸고 싶다.
age라는 인자를 받고
%d (숫자를 넣어라는 의미)
function을 쓸때도 3개를 넣어야 함.
def chat(name1, name2, age):
print("%s : 안녕 몇살이니?" % name1)
print("%s : 나는 %d" % (name2, age))
chat("알렉스", "윤하", 10)
chat("철수", "기홍", 30)
function 이름을 dsum(a, b)로 놓고 인자 a, b를 받고 결과값이 result = a +b
print대신 결과값을 return시킬거다.(이 result라는 변수를 fuction을 실행시키면 줘라라는 의미)
def dsum(a, b):
result = a + b
return result
d=dsum(1, 2)
print(d)
만약에 return result대신 print로 바꾸면 아무것도 안나옴(None). d라는 변수에 아무것도 안들어갔다는 의미
def dsum(a, b):
result = a + b
print(result)
d=dsum(2, 4)
print(d)
5. 복습
# 먼저 이름과 나이를 받아라
# 나이가 10살 미만이면 "안녕"이라고 말하라
# 나이가 10살에서 20살 사이면 "안녕하세요" 라고 말해라
# 그 외에는 "안녕하십니까"라고 말해라
def sayhello(name, age):
if age < 10:
print("안녕, "+ name)
elif age<=20 and age >=10:
print("안녕하세요, "+ name)
else:
print("안녕하십니까," + name)
sayhello("하니", 9)
sayhello("하니", 10)
sayhello("알렉스", 20)
sayhello("하니", 40)
'코딩 배우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두근두근 파이썬에서 웹크롤링 소스(네이버뉴스, 이미지 긁어오기) (1) | 2020.09.13 |
---|---|
코딩배우기 여섯번째_웹싸이트 만들어보자(css) (0) | 2020.08.19 |
코딩배우기 다섯번째_웹싸이트 만들어보자(html) (0) | 2020.08.15 |
코딩 배우기 네번째 반복문(for, while) (0) | 2020.08.02 |
코딩 배우기 세번째 (0) | 2020.08.02 |
코딩 빨리 배우기 (0) | 2020.07.30 |